왜 우리는 SNS를 하면 할수록 더 불행해지는가?
우리의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이해한다면 더 행복한 삶을 누리고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보다 더 앞서나갈 수 있을 것이다.
- 우리의 뇌는 선사시대를 통해 생존에 맞춰 진화해 왔다.
인간이 살아갈 의욕과 흥미를 부여하는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은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정해주는데
도파민 = 동기부여, 엔진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도파민은 음식을 보는 것만으로도 분비되며, 새로운 것을 학습할 때
분비되는데 새로운 환경이나 사건이 발생했을 때 분비하게 진화하여
자연에서 식량을 구하는 데 용이하게 진화했다.
이것을 이요한게 인스타나 유튜브의 릴스, 짧은 영상클립이다
옆으로 터치만 하면 새로운 자극이 충족되어 우리가 끊임없이 다음 페이지와 좋아요를
클릭하게 만드는 것이다.
뇌의 보상추구는 정보추구의 욕구와 비슷한데 실패하여도 계속 도전하게 만드는 게 핵심이다.
한번 나무에 올라보니 열매가 없어서 포기하고 누워있는 사람보다
옆 나무로 다시 옆 나무로 도전하다 보면 식량을 구할 수 있는 사람이 생존에 유리하듯이
예측불허하고 불확실한 목표를 향해가는 길 그 자체를 계속하게 해서 생존에 유리하게
만드는게 뇌, 도파민 분비의 핵심인 것이다. 이를 이용한 게 슬롯머신, 도박, 문자 or SNS 알림 메시지이다.
다음에 무엇이 뜰지 모르는 슬롯머신을 계속 돌리게 만들고 우리의 집중력을 빼앗는 알림 메시지는
무엇일지 확인하는 과정자체가 도파민 분비를 촉진하는 것이다.
- 멀티태스킹은 없다.
사람의 뇌는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하지 못한다.
빠르게 왔다 갔다 할 뿐 그러나 이전에 하던 일의 잔상은 계속 남아있어 업무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잠깐 이메일이나 문자를 확인할 뿐이지만 실제로는 더 많은 대가를 치르게 되는 것이다. = 전환기
뇌는 하나의 일에 몰입하는 게 제일 효율이 좋지만 생존과 진화를 위해 새로운 자극에 반응하도록
진화해 왔다. 새로운 이성을 만나거나, 새로운 이벤트가 생기면 그쪽으로 주의가 기울여지도록 말이다.
- 휴대전화는 무음이어도 방해된다.
무시하는 것은 뇌가 의식적으로 힘을 쓰는 적극적인 행동이다.
뇌가 하루에 집중할 수 있는 에너지는 근육처럼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서 주의가 점점 산만해질 뿐
멀티태스킹에 많이 노출될수록 점점 판단속도가 저하되는 것이다. 차라리 휴대전화를 방 밖으로
떨어뜨려 놓아야지 엎어놓고 책상 위에 올려놓는 것만으로도 우리의 뇌에 영향을 주는 것이다.
- 왜 우리는 부정적인 대화나 소문에 민감할까?
대화의 80%가 험담이란 말이 있다.
긍정적인 요소보다 부정적인 요소에 더 집중이 가고 끌리는 이유는 인류의 10~20%가 맞아 죽던
세계를 지나왔기 때문이다. 거리를 두어야 하는 사람, 공통의 적을 확인하여 우군이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선별하기 위해서이다.
고립된 존재보다 무리를 짓는 게 더 생존에 유리했다.
무리에서 퇴출되는 건 생존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우리는 사회적 평판에 민감하게
진화했고 다른 사람에게 내 이야기를 하여 그 반응을 관찰하여 우리 스스로 행동을 다듬을 수 있게
남의 이야기를 듣는 것보다 자신에 대해 말하기를 좋아하게 진화한 것이다.
- 왜 SNS를 하면 할수록 더 우울해지는가?
평온하며 조화로운 내면의 힘이 강해질 때 세로토닌이 생성되어 과도한 도파민의 분비로 인한
스트레스와 경쟁심을 낮춰준다. 단기간의 집중과 상대적 성취감보다 장기적인 목표달성을 위한
몰입감을 주는 것이다.
하지만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세로토닌이 떨어지고 몸이 위축하며 위협에 대비하여 도파민을
생성하게 되는데 과거에는 부족사회여서 부족원들 20~30명의 경쟁이었다면 지금은 끊임없는
SNS상 경쟁에서 자신감이 떨어지고 도파민이 분배되는 상황인 것이다.
SNS에 참여하는 대다수는 실제로 참여하지 않고 끝없는 게시물을 훑어 보이기만 하고
실제 참여하는 사람은 9%에 불과하다고 한다. 끝없는 자극과 경쟁에 노출되는 SNS를
멀리해야만 하는 이유이다.
'도서, 유트브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하느님과의 수다(사토 미쓰로) (0) | 2023.03.31 |
---|---|
15.역행자(자청) (1) | 2023.03.22 |
13.토들러 육아법(Jo Frost) (0) | 2023.03.15 |
12. 우리, 편하게 말해요(이금희) (0) | 2023.02.22 |
11.아파트 투자는 사이클이다 (0) | 2023.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