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서, 유트브 리뷰

코스피2765 회복, 지금 사도 안 늦은 주식5(신사임당, 아는선배 22.2.9)

by 성상별 2022. 2. 16.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GbuOKp120cE 

 

 

 

 

 

지금 사도 괜찮은 주식?

 

신저가 대비 신고가 비율이 4% 미만이라면  신규로 매수해볼 만하다

 

S&P500 지수도 1년에 10% 빠지는 경우는 매년 나오고 있음으로 

매일 주식창을 바라보는 것보다 떨어졌다는 기사가 뜨면

1년에 2번 떨어질 때만 사도 20%의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리오프닝 주식

업종 

  • 항공
  • 여행
  • 카지노
  • 면세점
  • 크루즈

이미 주가가 많이 오른 만큼 늦었을까?

시장 참여자들의 시각은 3개월~5개월 뒤를 바라보는 경우가 많다

아직 오미크론이 끝나지 않음을 기억하자

파티의 시작은 바이든 대통령이 오미크론과 코로나의 종식을 선언하는 때부터이다.

아직 늦지 않았다  

 

인플레이션 

언택트 기업 사지 말 것 이미 수혜를 많이 입어서 주가가 고평가 되어 있다.

인플레 수혜주(LNG, LPG, 석유,  이미 많이 오른 것, 지금 오르는 것 투자하지 말자)

 

지금 물류대란에 운임이 무척 비싸다. 너무 많이 올랐으니 떨어지면 좋아질 주식은 무엇일까?

지금 고통받고 있는 기업에 투자하자

  • 원재로 사 와서 가공하는 기업
  • 무거운 물건 만들어 해외에 파는 회사

이런 회사들의 공통점 올해 상반기까지는 어렵다. 당분간 인플레이션과 물류대란이 해소될 수 없기 때문

 

사야 하는 시기?    지금!! 어려울 때

 

현재 상황을 보자 현재 주가는 더 떨어지지 않을 것 같다

 

애널리스트들이  떨어질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고

이코노미스트들이 경제가 안 좋아질 것이라고 얘기하고 있기 때문

그들이 안 좋아진다고 하는것은 안좋아 진 다음 분석하는 것(과거)

주가는 선반영이 기본이다.  주가는 거기가 바닥인 것이다.

 

모든 사람들이 힘들다고 얘기할 때 미리 투자해야 한다

하지만 시장 상황이 더 안 좋아지면 어떻게 될까?

이미 시장 참여자들이 더 안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좀 안 좋아져도 괜찮다.   이미 주가에 반영되어 있기 때문

 

이미 안 좋은 애 더 안 좋아져도 주가 변동 미미

꼴찌는 시험 망쳐도 안 혼남

오히려 40등에서 30등 하면 칭찬~ 

올라갈 일만 남았지만 기대 안 하는 주식들을 바라봐야 한다

 

종목을 선정해보자

 

  • 코로나 때 이득을 봐서 주가가 오른 주식 제외

인플레에서 헷지를 할 만한 주식 = 브랜들 밸류 있는 음식 주(이런 주식들은 고르기 쉽다)

인플레가 꺾였을 때 이익이 늘어날 수 있는 주식을 생각해 보자

 

샘표? 콩 가격이 꺾이면 이익이 늘어난다

원재료 가격이 부담이 되고,  운임비가 비싸서 ,  필수적으로 반복 구매,

과거에 인기가 있어서 후반에 다시 잘 팔릴만한 주식을 찾아보자

 

가구, 가전,  자동차    풀린 돈으로 이미 다 새 제품으로 바꿨다. 매출에 반영완료    

자동차 주식 이미 판매량이 증가하여 또 늘긴 어렵다

그에 비해

타이어를 생각해 보자     이미 자동차가 많이 팔렸으니 우상향 할 수 있는 주식이다

타이어는 고무(원자재), 합성고무(석유)로 만들어진다. 

지금 가장 비싼 원자재 들이다. 

  

한국에 상장되어 있는 타이어 회사들은?

한국, 넥센, 금호타이어가 있다.  이 회사들은 국내 자동차에만 납품하는 것이 아닌

전 세계적인 회사로 외제차를 살 때에도 달려 나오는 품질이 입증된 회사들이다.

해외 차에 납품하려면 어찌해야 할까?

생산해서 해외로 배송하려면 물류비 부담(비행기는 어림없고 배를 태워야하 한다)

타이어는 신발보다 싼데  운임료가 부담되는 상황이다.

  • 타이어 업체 힘드니 안 끼고 자동차가 갈 수 있을까? 안됨 필수재
  • 비싸니까 아무 나라 꺼나 끼자 안됨(중국산 x ) 브랜드 가치 있음

언제 투자할꺼나?     

이익이 적을 때  투자해서 늘어날 때 파는 게 원칙

지금 돈 못 벌고 있음,  언젠가 매출은 늘어난다

인플레를 헷지 하는 업종은 아니지만 인플레 정상으로 돌아왔을 때 이익을 볼 업종

 

원자재를 사 와서 가공하여 수출하는 회사   우리나라 업종 대부분

아마 타이어는 해외 기업이라도 비슷한 움직임을 가져갈 듯

 

철강,  지금 너무 가격이 높음   포스코 앞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더 높음

한국전력 , lng 석탄,  원자재 가격들 너무 비쌈   하지만 공기업, 가격에 대한 규제가 있어 함부로 올리지 못함

 

 

메가트렌드

 폐기물 처리비용 : 2021년 대비 50% 상승

 원자재 가격이 올랐을 때 떨어지는 게 정상화 기조  이에 반대로

 인건비, 땅값,  쓰레기 많이 나옴,  폐기물은 늘어날 수밖에 없고 처리에는 한계가 있음

 일시적으로 오른 걸 수도 있으나 앞으로 계속 늘어날 수밖에 없는 메가트렌드

 땅,  정부의 허가 필요   앞으로 점점 줄어들 수밖에 없음

 무형자산 = 브랜드, 규제( 이미 갖고 있는 매립지, 허가 규모. EX :  택시면허)

 M&A가 많이 일어나고 있어  상장사가 많이 줄어들고 있고 대기업으로 흡수 합병이 많이 일어나고 있음

 

뉴스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2020419601

 

SBS, 유튜브·OTT서도 빛났다…사흘간 10%대 상승

SBS, 유튜브·OTT서도 빛났다…사흘간 10%대 상승, 뉴미디어에 맞는 경영 앞세워 제작비 다이어트 등 실적 개선도

www.hankyung.com

 

SBS가 기존 가지고 있던 콘텐츠를 쪼개서 유튜브에 올려 수익을 내고 있다

새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드라마 같이 제작비가 낮게들고 비 숙련가들을 배치해도 차이가 나지 않는 사업으로 수익성을 높였기 때문이다.  기존 제작되어 있는 드라마를 편집해서 올리는 것만으로도 새로운 컨텐츠가 되고 

사람들이 몰려 새로운 광고를 받아 수익을 창출해 내었기 떄문

 

비용은 적게 들어가는데 새로운 뉴 미이어에 적합한 새로운 사업을 벌이는 기업을 찾아 투자해야 한다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201265746b

 

유튜브 CEO “NFT로 크리에이터 수익원 다각화할 것”

유튜브 CEO “NFT로 크리에이터 수익원 다각화할 것”, 이명지 기자, 이주의한마디

magazine.hankyung.com

 

 

1. NFT와 관련하여 크리에이터들이 수익을 낼 수 있게 하겠다

2. 쇼핑기능, 라이브 커머스 등을 넣겠다.

 

https://blog.naver.com/infostock2018/222633272759

 

[단독] 獨폭스바겐, 지난해 4분기부터 LG배터리 수령 안하고 있다

독일 폭스바겐그룹이 장기 계약된 LG 배터리를 지난해 4분기부터 수령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

blog.naver.com

 

폭스바겐이 왜 LG 배터리를 계약만 하고 안 가져갈까?

가격이 비싸서 안 가져가는 걸까?

품질?  LG 배터리보다 더 좋은 기술을 가진 다른 배터리 회사가 나타났나? 

LG 배터리가 아니면 안 될 정도로 압도적인 기술력을 이미 갖춰놓았는지 비교해봐야 한다

 

계속 폭스바겐이 압박을 가한다면 LG 배터리는 결국 가격을 내릴 수밖에 없다

 

전기차 시대는 당연히 올 것이나  그때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업은 정해져 있다

부품업체들은 완성품 업체의 요구에 이익을 침해받을 수 없으므로 전기차 업종에 투자를 하더라도

어디에 투자할지 좀 더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기업을 평가하는 4가지

무형자산

네트워크 효과 ( 카카오톡에 있는 기능 똑같이 복사해서 새로 창업해도 기존 카카오톡 유저들을 뺏어 올 수 없어 가치를                       인정받을 수 없다),

전환 비용

원가 우위   

반응형